카탈로그제작
#카다로그 #카다로그제작 #카다로그디자인
카다로그 A to Z – 기획부터 제작까지본문

카다로그는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담아내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강력한 마케팅 도구입니다. 온라인이 발달한 지금도 오프라인 전시회, 상담, 영업 현장에서는 카다로그 한 권이 기업의 신뢰와 이미지를 좌우하기도 하지요. 이번 글에서는 카다로그제작과 카다로그디자인의 모든 과정을 A부터 Z까지 풀어보겠습니다.
A. About – 카다로그란 무엇인가
카다로그는 기업이 보유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책자 형태의 홍보물입니다. 단순히 제품 설명서를 넘어, 브랜드의 철학과 정체성까지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이 됩니다.
B. Branding – 브랜드 아이덴티티 반영
카다로그제작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, 기업의 이미지를 어떻게 보여줄지 결정하는 브랜딩 과정입니다. 로고, 전용 색상, 서체, 톤 앤 매너를 일관되게 반영해야 카다로그디자인이 브랜드 자산으로 작동합니다.
C. Content – 콘텐츠 구성
내용은 명확하고 간결해야 합니다. 기업 소개, 제품 라인업, 사양, 가격, 사용 방법, 차별화 포인트를 적절히 배치해야 하며, 이해를 돕는 사진·인포그래픽 활용도 필수입니다.
D. Design – 카다로그디자인의 핵심
디자인은 가독성과 시각적 임팩트를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. 표지 디자인은 첫인상을 좌우하므로 심플하면서도 메시지가 분명해야 하고, 내지는 레이아웃을 정리해 사용자 친화적으로 제작해야 합니다.
E. Edition – 사이즈와 판형 선택
보통 A4 사이즈가 가장 많이 쓰이지만, 제품 특성에 따라 A5, 정방형, 변형 사이즈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합니다. 판형 선택은 인쇄 단가와 휴대성에도 큰 영향을 주므로 초기에 확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F. Finishing – 후가공 처리
카다로그제작에서 후가공은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. 코팅(무광/유광), 박(금박/은박), 형압, 부분 UV 등은 고급스러운 느낌을 더하며, 특히 경쟁이 치열한 업종일수록 후가공의 차별화 효과가 큽니다.
G. Gram – 종이 재질과 무게
카다로그디자인의 퀄리티를 좌우하는 요소 중 하나는 종이 선택입니다. 150g~250g 아트지, 스노우지, 고급 수입지를 많이 사용하며, 표지는 두꺼운 용지와 코팅을 적용해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H. Hosting – 디지털 카다로그 활용
최근에는 인쇄본과 함께 온라인 카다로그제작도 병행합니다. PDF 형식으로 제작해 홈페이지나 이메일에 첨부하면 비용 절감과 확산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.
I. Inspection – 교정과 검수
최종 인쇄 전에는 오탈자, 색상, 이미지 해상도를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. 교정 단계에서 꼼꼼히 확인하지 않으면 대량 인쇄 후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, 제작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절차 중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.
J. Journey – 활용과 배포
카다로그는 제작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. 전시회, 상담, 우편 발송, 매장 비치 등 다양한 경로로 활용해 고객과 만날 수 있어야 합니다. 제작 목적에 따라 배포 전략을 세우는 것이 A to Z의 마지막 단계입니다.
마무리
카다로그제작은 단순한 인쇄물이 아니라, 기업의 정체성을 담아내는 하나의 브랜딩 과정입니다. 또한, 꼼꼼한 기획과 체계적인 카다로그디자인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영업 현장에서 효과적인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.
- 이전글카달로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25.09.01
- 다음글카탈로그디자인 준비사항 안내 및 디자인의 중요성 25.08.2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