포스터제작
#포스터 #포스터제작 #포스터디자인 #홍보포스터제작
포스터디자인 제작에 대한 방향성 체크하기본문

포스터디자인 A to Z
1. 포스터디자인의 시작과 역할
포스터는 오래 전부터 대중과의 가장 직관적인 소통 수단이었습니다. 길거리의 벽보부터 전시장, 카페, 행사장까지 장소를 불문하고 메시지를 빠르게 전달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죠. 오늘날에는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 홍보 이미지로도 활용되면서, 단순한 인쇄물을 넘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.
2. 포스터 기획 단계 – 메시지 정리
포스터는 ‘한눈에’ 보는 매체이기 때문에 핵심 메시지 요약이 필수입니다. 행사명, 날짜, 장소, 브랜드 슬로건처럼 반드시 전달해야 할 정보를 우선순위에 따라 정리해야 합니다. 기획 단계에서 메시지가 불분명하면 디자인이 산만해지고, 보는 이가 금세 관심을 잃게 됩니다.
3. 디자인 구성 요소
타이포그래피: 글자의 크기·배치·색상으로 메시지의 강약을 조절합니다. 보통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가장 크게 배치합니다.
컬러: 색상은 감정을 전달하는 가장 빠른 도구입니다. 행사 성격에 맞는 톤 앤 매너를 선택해야 하며, 브랜드 컬러를 활용하면 통일감이 살아납니다.
이미지와 그래픽: 사진, 일러스트, 패턴, 아이콘 등이 메시지 보조 역할을 합니다. 최근에는 무드보드를 구성해 감각적인 분위기를 먼저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레이아웃: 정보의 위계와 시선 흐름을 설계해야 합니다. 위에서 아래, 좌에서 우로 자연스럽게 읽히도록 구조를 짜는 것이 핵심입니다.
4. 포스터 용지와 인쇄 방식
포스터는 크게 두 가지 목적에서 나뉩니다.
실사용 인쇄용: 행사 홍보, 안내문 등 오프라인 게시를 위한 목적. 보통 A2, A1 사이즈가 많이 쓰이며, 코팅지를 활용해 내구성을 높입니다.
디지털 포스터: 온라인 홍보용 이미지. SNS, 홈페이지, 블로그용으로 사이즈와 비율을 맞춰 제작합니다. 최근에는 인쇄와 온라인 겸용 디자인도 많이 요청됩니다.
용지 선택 시에는 표면 질감(무광/유광), 두께(100g~250g), 후가공(코팅, 형압, 부분UV 등)을 고려해야 합니다.
5. 포스터 제작 과정 (실무 플로우)
컨셉 도출 – 브랜드 방향성과 행사 성격을 분석
스케치 & 와이어프레임 – 대략적인 레이아웃 구상
시안 디자인 – 타이포, 색상, 이미지를 적용해 구체화
수정 피드백 – 의뢰자 검토 후 세부 보정
최종 확정 & 출력 – 인쇄 규격 및 파일 포맷 맞춤 제작
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건 ‘소통’입니다. 클라이언트와 디자이너가 메시지와 목적에 대해 같은 그림을 그려야 디자인 결과물이 만족스럽게 나옵니다.
6. 포스터디자인 트렌드
최근 포스터디자인은 단순 홍보를 넘어 하나의 아트워크로도 소비됩니다.
미니멀리즘: 군더더기 없는 간결한 정보 전달
레트로 무드: 아날로그 감성의 복고풍 그래픽
대담한 타이포: 이미지보다 글자로 시선을 사로잡는 방식
인터랙티브 포스터: QR코드, AR기능을 삽입해 디지털 경험과 연결
트렌드에만 치우치기보다, 브랜드와 메시지에 맞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 최선입니다.
7. 마무리 – 좋은 포스터란?
좋은 포스터는 “한눈에 기억되는 것”입니다. 지나가다 스쳐 보더라도 메시지가 머리에 남고, 시각적 임팩트로 호기심을 자극해야 합니다. 단순히 예쁜 디자인이 아니라, 전달 목적을 제대로 달성했는지가 가장 중요한 기준입니다.
희명디자인은 기획 단계부터 제작 후 인쇄까지 전 과정을 함께하며, 목적과 대상에 맞는 최적의 포스터디자인을 제안해 드리고 있습니다.
- 이전글포스터 제작, 디자이너의 기획 노트 25.08.28
- 다음글홍보 포스터제작에 대한 설명, 그리고 포스터 디자인의 중요성 25.05.16